From 2000 to last collection. I more feel like this post is for myself, because I didn't know that much about mcqueen this much and his spirit. Now, I more loving him and missing him.
지금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에서 전시되고 있는 알렉산더 맥퀸 작품에 대한 글이에요.
제목은 "Savage Beauty". 모든 작품이 다 있는 건 아니지만, 그래도 지금 전시되어 있고 사람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작품들을 시대 순으로 정리했어요.
밑에 있는 말을 맥퀸이 했던 인터뷰나 그가 했던 말로서 그를 조금 더 깊이 알 수 있습니다.
"" = mcqueen quote. 따옴표 된 건 알렉산더 맥퀸이 컬렉션에 대해 인터뷰한 것이나 말이에요.
- ESHU, autumn/winter 2000 -
“[I try to] push the silhouette. To change the silhouette is to change the thinking of how we look. What I do is look at ancient African tribes, and the way they dress. The rituals of how they dress. . . . There’s a lot of tribalism in the collections.”
"나는 실루엣을 확장하려고 했다. 실루엣을 바꾸는 것은 우리가 보는 방법의 생각을 바꾸는 것이다. 내가 한 것은 고대 아프리칸의 부족과 그들이 옷을 입는 법을 본 것이다. 그들이 어떻게 옷을 입는지의 그 풍습 말이다. 이 컬렉션에는 그 부족의 특징이 많이 담겨있다."
인조 머리카락으로 된 코트, Coat made of synthetic hair.
- VOSS, spring/summer 2001 -
Overdress of panels from a nineteenth-century Japanese silk screen; underdress of oyster shells; neckpiece of silver and Tahiti pearls.
위의 드레스는 19세기 일본 실크스크린에서 영감을 받았고, 밑의 드레스는 굴 껍질, 목의 장식은 은과 타히티진주.
Jacket of pink and gray wool bird’s-eye embroidered with silk thread; trouser of pink and gray wool bird’s-eye; hat of pink and gray wool bird’s-eye embroidered with silk thread and decorated with Amaranthus
“I want to be honest about the world that we live in, and sometimes my political persuasions come through in my work. Fashion can be really racist, looking at the clothes of other cultures as costumes. . . . That’s mundane and it’s old hat. Let’s break down some barriers.”
"나는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에 대해 정직해지고 싶다. 때론 내 정치적인 견해가 내 작업에 반영된다. 패션은 다른 문화의 옷을 코스튬처럼 보면서 정말 인종차별적이게 될 수 있다.
그것은 세속적이고 시대에 뒤떨어진거다. 같이 장벽들을 깨버리자."
Dress, Nude synthetic net appliquéd with roundels in the shape of chrysanthemums embroidered with red, gold, and black silk thread with black ostrich feathers.
“[In this collection] the idea was to turn people’s faces on themselves. I wanted to turn it around and make them think, am I actually as good as what I’m looking at?”
"아이디어는 사람들에게 자기스스로를 돌아보게 하는데서 왔다. 나는 자신을 돌아보게하고 그들에게 생각하게 만들고 싶었다. '나는 지금 내가 보는 것만큼 잘생겼나?'"
“The show was staged inside a huge two-way mirrored box, whereby the audience was reflected in the glass before the show began and then the models could not see out once the show started.”
"쇼는 두갈래 길로 된 큰 거울박스 안에서 진행되었다. 그곳에서 관객들은 쇼가 시작되기 전에 유리에 비춰졌다. 그 뒤 모델들은 쇼가 시작한 뒤 그 거울을 볼 수 없었다.'
빨간색과 검정색 타조깃털과, 의학용 슬라이드 글래스로 만들어진 드레스.
dress, made of ostrich feather, medical glass slides panted red.
“There’s blood beneath every layer of skin.” "각각 피부의 층 아래엔 피가 있다."
“My friend George and I were walking on the beach in Norfolk, and there were thousands of [razor-clam] shells. They were so beautiful, I thought I had to do something with them. So, we decided to make [a dress] out of them. . . . The shells had outlived their usefulness on the beach, so we put them to another use on a dress. Then Erin [O’Conner] came out and trashed the dress, so their usefulness was over once again. Kind of like fashion, really.”
"내 친구 George와 같이 Norfolk에 있는 해변을 걷고 있었는데 거기에 수천개에 조개들이 있었다. 그 조개들은 너무나 아름다웠고, 나는 조개들로 무언가를 해야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우리는 조개로 드레스를 만들기로 했다. 그 조개들은 바닷가에서 '유용하게' 오래 살아왔고, 우리는 조개들을 드레스에 다르게 '사용'했다. 그러자 Erin이 와서 그 드레스를 버렸고, 그들의 '유용성'은 한번 끝났었다. 꽤 패션같다."
Supercalifragilisticexpialidocious, autumn/winter 2002-2003
이 컬렉션 이름은 너무 길어서 발음조차 못하겠다 :) (하지만 해봤음.) 아무튼 이 코트는 낙하산에 쓰이는 실크소재다.
“This collection was inspired by Tim Burton. It started off dark and then got more romantic as it went along.”
"이 컬렉션은 팀 버튼으로 부터 영감을 받았다. 처음엔 어둡지만 조금만 가면 로맨틱해진다."
“Life to me is a bit of a [Brothers] Grimm fairytale.”
"나에게 삶은 조금은 그림형제의 동화같다."
; '그림'형제는 독일사람인데 백설공주나 헨젤과 그레텔 등 여러동화를 수집한 형제에요.
IRERE, spring/summer 2003
“Working in the atelier [at Givenchy] was fundamental to my career . . . Because I was a tailor, I didn’t totally understand softness, or lightness. I learned lightness at Givenchy. I was a tailor at Savile Row. At Givenchy I learned to soften. For me, it was an education. As a designer I could have left it behind. But working at Givenchy helped me learn my craft.”
"지방시에서 일했던 경험은 내 커리어에 중요했다. 왜냐면 나는 재단사였고, 부드러움과 가벼움에 대해 완벽히 이해하지 못 한 상태였다. 나는 지방시에서 '가벼움'을 배웠다. - 이하생략.."
- It's Only a Game, spring/summer 2005 -
Dress, Lilac leather and horse hair.
“[In this collection] the idea of the chess game meant that we looked at six different types of women, women on opposing sides. We had the Americans facing the Japanese and the redheads facing the tanned Latinos.”
"이 컬렉션의 영감은 체스게임으로 부터 받았다. 각각 반대편에서 바라보는 6종류의 여자를 의미한다. 아메리칸과 일본인 그리고 빨간머리와 태닝한 라티노들."
일본 오비스타일의 드레스.
obi-style.
obi-style Bodysuit.
tartan dress
“Scotland for me is a harsh, cold and bitter place. It was even worse when my great, great grandfather used to live there. . . . The reason I’m patriotic about Scotland is because I think it’s been dealt a really hard hand. It’s marketed the world over as . . . haggis . . . bagpipes. But no one ever puts anything back into it.”
"나에게 있어서 스코틀랜드는 거칠고 춥고 쓰라린 곳이다. 내 조조조 할아버지가 살고 계실 때는 더 심했다. 내가 스코틀랜드에 대해 애국심을 가지고 있는 이유는 스코틀랜드가 매우 거칠게 살아왔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 나라는 해기스(;양의 내장으로 만든 순대 비슷한 음식, 백파이프 같은 것을 세계에 거래했다. 그러나 아무도 그 곳에 어떤것도 돌려주지 않았다."
“[This] collection is . . . romantic but melancholic and austere at the same time. It was gentle but you could still feel the bite of cold, the nip of the ice on the end of your nose. . . . With bustles and nipped waists, I was interested in the idea that there are no constraints on the silhouette. I wanted to exaggerate a woman’s form, almost along the lines of a classical statue.”
"이 컬렉션은 로멘틱하지만 동시게 멜랑꼴리하다. 부드럽지만 당신은 동시에 여전히 약간의 차가움을 느낄수 있다, 코에 얼음이 살짝 앉은 듯........ 나는 여성의 형체를 과장하고 싶었다."
- Widows of Culloden, autumn/winter 2006-2007 -
Dress, made of Pheasant feathers.
"나는 자연의 창조물을 언제나 사랑해왔고 내 작업을 더 또는 덜하게 하는 건 언제나 자연에 의해 알려졌다."
“Birds in flight fascinate me. I admire eagles and falcons. I’m inspired by a feather but also its color, its graphics, its weightlessness and its engineering. It’s so elaborate. In fact I try and transpose the beauty of a bird to women.”
"날고 있는 새는 나를 매혹시킨다. 나는 독수리와 매를 동경한다. 나는 깃털에도 영감을 받지만 그것의 색깔, 그래픽, 가벼움, 엔지니어링에도 영감을 받는다. 깃털은 너무나 정교하다. 사실 나는 새의 아름다움을 여성의 아름다움으로 바꾸려고 노력한다."
Cream silk tulle and lace with resin antlers
“When we put the antlers on the model and then draped over it the lace embroidery that we had made, we had to poke them through a £2,000 piece of work. But then it worked because it looks like she’s rammed the piece of lace with her antlers. There’s always spontaneity. You’ve got to allow for that in my shows.”
- SARABANDE, spring/summer 2007 -
“I liked the padded hips because they didn’t make the [piece] look historical, but . . . more sensual. Like the statue of Diana with breasts and big hips. It’s more maternal, more womanly.”
"내가 패드가 더해진 엉덩이를 좋아하는 이유는 사실적으로 보이기보단 관능적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가슴과 큰 엉덩이가 있는 다이아나의 조각상처럼. 더 어머니답고, 더 여성적이다."
Nude organza silk flowers and fresh flowers dress.
" 샘 타일러 우드의 죽어가는 과일을 기억해요? 그것들이 썩은.. 내가 꽃들을 이용한 이유는 그것들이 죽기때문이에요. 내 기분은 그 때 어둡게 로맨틱했어요."
- The Girl Who Lived in the Tree, autumn/winter 2008-2009 -
“When I design, I try to sell an image of a woman that I have in [my] mind, a concept that changes dramatically each season.”
"내가 디자인할 때, 나는 내 마음속 안에 있는 여성의 이미지를 팔려고 시도한다. 그 콘셉트는 매 시즌마다 극적으로 변한다."
“[In this collection] she was a feral creature living in the tree. When she decided to descend to earth, she transformed into a princess.”
"그녀는 나무 안에 사는 야생 생물체다. 그녀가 지구로 내려오기로 결정했을 때, 그녀는 공주로 변했다."
- The Horn of Plenty, autumn/winter 2009-2010 -
Duck feather dyed black dress.
“It is important to look at death because it is a part of life. It is a sad thing, melancholy but romantic at the same time. It is the end of a cycle—everything has to end. The cycle of life is positive because it gives room for new things.”
"죽음을 바라보는 것은 중요하다. 왜냐면 삶의 한 부분이기 때문이다. 슬픈 일이다. 또 멜랑꼴리하지만 동시에 로맨틱하다. 그것은 싸이클의 끝이다. 모든 것에는 끝이 있다. 삶의 싸이클은 긍정적이다 왜냐면 그것은 새로운 것들에게 자리를 내어주기 때문이다."
- Plato's Atlantis, spring/summer 2010 -
“[This collection predicted a future in which] the ice cap would melt . . . the waters would rise and . . . life on earth would have to evolve in order to live beneath the sea once more or perish. Humanity [would] go back to the place from whence it came.”
"이 컬렉션은 미래에 만년설이 녹는다는 가정하에 만들었다. 수면은 올라가고.. 지구에 있는 생명체는 바다 아래에 살아가기 위해 또는 파멸하기 위해 진화해야만 할 것이다. 인간성은 우리가 시작한 곳으로 다시 돌아갈 것이다."
"이제 나에게 돌아갈 길은 없다. 나는 당신을 당신이 절대 가능하리라고 꿈꾸지 못했을 곳으로 데려갈 것이다."
“I like to think of myself as a plastic surgeon with a knife.”
"나는 내 자신을 메스를 든 성형외과 의사로 생각하길 좋아한다."
“With me, metamorphosis is a bit like plastic surgery, but less drastic. I try to have the same effect with my clothes. But ultimately I do this to transform mentalities more than the body. I try and modify fashion like a scientist by offering what is relevant to today and what will continue to be so tomorrow.”
"나에게 '변형'이란 성형수술과 조금 같다, 그러나 덜 과감하다. 나는 내 옷에게 똑같은 효과를 주려고 한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나는 이것(옷을 자르는 것)을 몸을 변형하기 보다는 정신을 변형하기 위해 한다. 나는 과학자처럼 패션을 변형하려고 한다. 오늘에 상응하는 것을 제공하고 또 내일 무엇이 계속될지를 제공함으로 인해.."
- unfinished collection, autumn/winter 2010-2011 -
나는 냉담하고 엄격한 플라망 지도자의 금욕주의에 더 관련시켰다. 그리고 나는 또한 튜더 양식과 영국왕 1세의 초상화에서 볼 수 있는 무시무시한 것들을 사랑한다."
“For me, what I do is an artistic expression which is channeled through me. Fashion is just the medium.”
"나에게, 내가 하는 것은 나를 통해 나오는 예술적인 표현이다. 패션은 단지 내가 나를 표현하는 매개물이다."
This is it. I feel weird and so sentimental now. He is no longer here in this planet but Lee Mcqueen did a lot of work in his own artistic way, and he has always his own story. At first I look his collection, sometimes, It's quite not understandable, but after listening his story, whole collection comes me into my heart, and I can feel what he thought, what he wanted me to feel something he wanted to say. I feel really sorry that I can't meet him in the future, but I feel strongly that Alexander McQueen house should exist forever and ever and ever like Grimm fairytale. All the quotes, All the details made me feel more closer with him. Thanks for reading and I hope you guys could feel the mcqueen.
All the information from blog.metmuseum.org/
I am sure you will get even more information in that blog. Thanks.
3AM, from dark room in Korea. xo. romie.
No comments:
Post a Comment